전체 글 (175) 썸네일형 리스트형 [SpringBatch] 구동시 'batch_job_instance' doesn't exist 에러발생 SpringBatch 구동시 'batch_job_instance' doesn't exist 에러가 발생하여 진행이 안되고 있는 상황 . ____ _ __ _ _ /\\ / ___'_ __ _ _(_)_ __ __ _ \ \ \ \ ( ( )\___ | '_ | '_| | '_ \/ _` | \ \ \ \ \\/ ___)| |_)| | | | | || (_| | ) ) ) ) ' |____| .__|_| |_|_| |_\__, | / / / / =========|_|==============|___/=/_/_/_/ :: Spring Boot :: (v2.5.3) .. 생략 ... java.lang.IllegalStateException: Failed to execute ApplicationRunner at.. 스마트싱스 Windows PC버전 - 설치 및 간단한 사용법 스마트싱스 안드로이드앱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Window PC버전(2021.05.07)이 출시됐다고 한다. 설치가능 PC 환경정보 Windows 10 64bit - 20H2 이상 삼성전자서비스 자주묻는 질문에 스마트싱스 관련된 사항이 잘 정리되어 있다. https://www.samsungsvc.co.kr/solution/221904 설치환경 Windows 10 64bit - 20H2 스마트싱스 Window PC버전 설치 윈도우 > Microsoft Store 실행 > 스마트싱스 검색 > 받기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가 가능하다. 출시일은 2021년 3월 3일로 되어 있으며 용량은 58.52MB 이다. 앱에서 사용하는 계정을 입력하여 로그인하면 기존에 등록되었던 기기가 자동으로 등록된다. 삼성계정 인증.. LogViewer(FileTail) - 실시간 로그확인 이클립스 플러그인 LogViewer 실시간으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는 이클립스 플러그인이다. 이클립스 마켓플레이스에서 설치가 가능하며 Apache 라이센스라 사용에 자유롭다. 리눅스의 tail -f 명령어랑 같은 기능이다. GitHub 소스 https://github.com/anb0s/LogViewer GitHub - anb0s/LogViewer: Eclipse Plug-in for tailing log files and eclipse consoles (e.g. SVN, Java Stack Trace, CDT), includin Eclipse Plug-in for tailing log files and eclipse consoles (e.g. SVN, Java Stack Trace, CDT), including synta.. [Greenplum] DBeaver 접속시 master-only utility mode FATAL 에러발생 Greenplum 을 접속하려고 했으나 master-only utility mode 라고 하면서 접속불가능한 상황발생 FATAL: System was started in master-only utility mode - only utility mode connections are allowed 에러원인은 Greenplum 을 Master 노드에서만 접속이 가능한 master only mode 로 시작을 하여 접속이 안되는 것이다. master 노드 - psql 로 접속하여도 DBeaver와 같은 메세지가 표시되면서 접속이 안된다. [gpadmin@mdw ~]$ psql -d postgres psql: FATAL: System was started in master-only utility mode - onl.. [Greenplum] 코어덤프 생성을 위한 ABRT(Automatic Bug Reporting Tool) 설치 및 사용방법 Greenplum에서 버그가 발생하면 CoreDump 파일을 가지고 분석을 하여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 CoreDump 파일을 생성해 주는 툴이 ABRT(Automatic Bug Reporting Tool) 이다. ABRT는 Greenplum 에만 국한 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RedHat/CentOS 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이 문제가 발생하면 코어덤프를 생성하는 툴이다. Tanzu Greenplum - Install Guide 에서는 ABRT를 공식적으로 소개하지 않아 참고용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. ABRT 정보 https://zetawiki.com/wiki/%EB%A6%AC%EB%88%85%EC%8A%A4_ABRT https://access.redhat.com/documentation/en-u.. [Greenplum] 6.12.0 버전에서 PANIC 상황을 발생시키는 방법 Greenplum 6.12.0 버전에서 PANIC 상황을 발생시키는 방법 실제 운영 사이트에서 PANIC을 발생시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상황이지만 개발/테스트 환경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PANIC상황을 발생시키는 이유는 다양하다. PANIC상황을 발생시키는 이유 Pglog 에 PANIC 로그가 어떻게 남는지 확인 분석을 위한 코어덤프 파일이 생성되는지 테스트 장애환경발생시 대응방법 습득 실행환경 RedHat 7.5 Greenplum 6.12.0 Greenplum 6.14.0 에서 해결된 이슈(Resolved Issues) 30974를 참고하여 PANIC을 발생시켜보자. URL : https://gpdb.docs.pivotal.io/6-14/relnotes/gpdb-614-release-notes.html.. RefCursor를 이용하여 Multiple Results(다중 결과 데이터) Function 개발 Greenplum 또는 Postgresql 이용하여 Function 을 개발하다 보면 하나의 Function 을 실행했을때 다중 결과 데이터를 조회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것이 RefCursor 라는 기능이다. RefCursor 는 꼭 다중 결과 데이터를 조회할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적쿼리를 만들어서 실행할 때도 사용하기도 한다. return query 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DataType을 생성하여 return 형식을 고정하는 Function 은 동적쿼리를 생성하여 실행할 수 가 없기때문에 꼭 RefCursor를 이용한 Function 을 개발하여야 한다. Postgresql 9.4 - Cursor : 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9.4/plpgsql-cursors.htm.. [Greenplum] Function 개발 및 디버깅을 위한 RAISE 로깅 사용방법 Greenplum Function 을 개발하다보면 실행이력/에러내역등 로그를 남겨 확인해야 할 상황이 있을 것이다. 이럴때 사용하는 것이 RAISE 구문이며 DBeaver Tool을 사용하면 Output 창에 로그내용을 표시할 수 있어 Function 개발/디버깅이 용이하다. 그리고 리눅스 CLI 환경에서 psql 을 이용하여 Function 을 실행하면 표준출력으로 RAISE 구문의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터미널 환경에서로 상황을 파악할 있다. (물론 Function 내에서 개발을 정상적으로 하였을때 상황이다.) 로그 레벨 정의 및 구문 참조 : 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9.4/plpgsql-errors-and-messages.html 0. 환경정보 Greenplum 6.. DBeaver 버전정보 규칙변경(7.3.5 -> 21.x.x) DBeaver 버전정보 규칙이 변경되었다. (https://github.com/dbeaver/dbeaver/releases/tag/21.0.0) We switched to calendar versioning: version 21.0 comes after 7.3. 7.3.5 버전이후로 21.x.x - 즉 년.x.x 으로 버전정보 규칙이 변경되었다. 21버전으로 오면서 대문이미지 변경 말고는 큰 변화는 없는 것 같다. [Greenplum/Postgresql] DO SQL명령어 사용법 Greenplum/Postgresql 를 이용하여 Function 을 개발/테스트할때 Function 문법/기능을 확인하고 싶을때가 있다. Function 을 생성하고 테스트한 뒤 Function 을 삭제하는 것은 너무 비효율적이며 이런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DO 기능/SQL명령어이다. DO 는 Parameter가 없고 return void 방식의 임시 Function 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. 참고사이트 Postgresql 공식사이트 참고 - https://www.postgresql.org/docs/9.4/sql-do.html Tanzu Greenplum 공식사이트 참고 - https://gpdb.docs.pivotal.io/6-16/ref_guide/sql_commands/DO.html 0. 환.. 이전 1 ··· 9 10 11 12 13 14 15 ··· 18 다음